가공철근은 직선철근 또는 코일철근을 자동절단절곡기를 통해 정확한 모양으로 가공하여 만든 철근입니다. 대한제강의 가공철근은 철근의 공정투입에서부터 절단, 절곡 및 배출에 이르기까지 최적화 된 프로그램에 의해서 관리되고 있습니다. 당사의 최첨단 설비를 통해 생산된 가공철근은 균일한 형태보장 및 건설현장의 공사기간 단축을 가져옵니다.
Processed Rebar
가공철근은 직선철근 또는 코일철근을 자동절단절곡기를 통해 정확한 모양으로 가공하여 만든 철근입니다. 대한제강의 가공철근은 철근의 공정투입에서부터 절단, 절곡 및 배출에 이르기까지 최적화 된 프로그램에 의해서 관리되고 있습니다. 당사의 최첨단 설비를 통해 생산된 가공철근은 균일한 형태보장 및 건설현장의 공사기간 단축을 가져옵니다.
Type
가공형상 종류
ㅡ자철근
가공하지 않은 상태의 철근 혹은 ㅡ자로 가공된 철근입니다.
ㄷ자철근
ㄷ자로 가공된 철근으로 연속되지 않은 단일 구조체 내에서의 정착 시 주로 사용되고,
부재의 길이는 대부분 단일 구조체 길이에서 피복두께를 감한 길이가 됩니다.
헌치
콘크리트 구조물에서 부재의 두께나 높이가 급격하게 변화 되는 부분에서 응력의 집중등에 의하여 구조물이 국부적인 손상을 입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단면을 서서히증감시키게 되는데, 해당 부위에 들어가는 철근의 형태를 헌치철근이라 합니다.
* 기초나 보의 단차부위 혹은 꺾이는 형태의 벽체 수평근등에 주로 사용됩니다.
나선철근
기둥의 주근 주위에 나선형태로 감아 붙이는 띠철근으로 허용축방향 하중이 크고 비틀림에 강합니다.
벤드근
보나 슬라브의 주근으로 단부와 중앙부 경계선(Lx/4)에서 두번 절곡한 철근입니다.
우리나라와 일본에서 주로 사용하는 시공방법으로 대다수의 나라에서는 커트바 형식을 사용중에 있으며, 우리나라에서도 보에서의 벤드근 적용은 거의 사라졌고 슬라브에서만 일부 사용중입니다.
보조대근(캡바)
보에서 개방형 늑근 상부에 씌우도록 하여 부착을 하는 양단을 구부린 철근으로, 기둥에서의 주철근의 좌굴을 방지 하는 역할을 하며 한쪽은 90도, 다른 한쪽은 135도로 가공하여 주철근을 잡아줍니다.
ㆍ 90도, 135도 가공 혹은 양쪽 모두 90도로 가공하기도 한다. (D10,D13철근 주로 사용)
전단보강근
보에서 전단력에 대처하기 위해 사용되는 철근. 보주근에 대해 직각방향으로 설계됩니다.
ㆍ 늑근과 같은 규격의 철근을 사용하며 주로 D10, D13철근이 이용됩니다. 좌측 상단 첫번째의 형태가 구조적으로 가장 이상적이나 시공의 편의를 위해 나머지 두가지 형태의 전단보강근을 현장과의 협의 후 사용하기도합니다.
대근
기둥의 주근을 수평면에서 서로 연결하여 압축력에 의해서 주근이 밖으로 나오는 것을 방지하여 기둥의 압축강도를 증대시키고, 또 전단 보강을 하는 철근입니다.
ㆍ 내진, 비내진, SRC, 기둥 형상, 크기 등에 따라 여러가지 형태의 대근을 사용하며, 좌측 형상 중 상단 첫째 형태의 후프는 내진구조의 기둥에 두 번째는 비내진구조, 세 번째는 SRC기둥이나 커플러 사용시 또는 빅 사이즈의 기둥의 시공 시 편이성을 위해 사용되며, 네 번째는 원형기둥의 경우 사용됩니다. (D10,D13 철근을 주로 사용)
ㆍ 기둥의 폭에서 피복두께를 감한 나머지 길이가 대근의 폭이 됩니다.
Type
가공형상 종류
ㅡ자철근 가공하지 않은 상태의 철근 혹은 ㅡ자로 가공된 철근입니다.
ㄷ자철근
ㄷ자로 가공된 철근으로 연속되지 않은 단일 구조체 내에서의 정착 시 주로 사용되고, 부재의 길이는 대부분 단일 구조체 길이에서 피복두께를 감한 길이가 됩니다.
헌치
콘크리트 구조물에서 부재의 두께나 높이가 급격하게 변화되는 부분에서 응력의 집중 등에 의하여 구조물이 국부적인 손상을 입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단면을 서서히 증감시키게 되는데, 해당 부위에 들어가는 철근의 형태를 헌치철근이라 합니다. * 기초나 보의 단차부위 혹은 꺾이는 형태의 벽체 수평근등에 주로 사용됩니다.
나선철근
기둥의 주근 주위에 나선형태로 감아 붙이는 띠철근으로 허용축방향 하중이 크고 비틀림에 강합니다.
벤드근
보나 슬라브의 주근으로 단부와 중앙부 경계선(Lx/4)에서 두번 절곡한 철근입니다. 우리나라와 일본에서 주로 사용하는 시공방법으로 대다수의 나라에서는 커트바
형식을 사용하며, 우리나라에서도 보에서의 벤드근 적용은 거의 사라졌고
슬라브에서만 일부 사용중입니다.
보조대근(캡바)
보에서 개방형 늑근 상부에 씌우도록 하여 부착을 하는 양단을 구부린 철근으로, 기둥에서의 주철근의 좌굴을 방지 하는 역할을 하며 한쪽은 90도, 다른 한쪽은 135도로 가공하여 주철근을 잡아줍니다.
90도, 135도 가공 혹은 양쪽 모두 90도로 가공하기도 합니다. (D10, D13 철근 주로 사용)
전단보강근
보에서 전단력에 대처하기 위해 사용되는 철근. 보주근에 대해 직각방향으로 설계됩니다.
늑근과 같은 규격의 철근을 사용하며 주로 D10, D13 철근이 이용됩니다. 좌측 상단 첫 번째의 형태가 구조적으로 가장 이상적이나 시공의 편의를 위해 나머지 두 가지 형태의 전단보강근을 현장과의 협의 후 사용하기도 합니다.
대근
기둥의 주근을 수평면에서 서로 연결하여 압축력에 의해서 주근이 밖으로 나오는 것을 방지하여 기둥의 압축강도를 증대시키고, 또 전단 보강을 하는 철근입니다.
내진, 비내진, SRC, 기둥 형상, 크기 등에 따라 여러가지 형태의 대근을 사용하며, 좌측 형상 중 상단 첫째 형태의 후프는 내진구조의 기둥에 두 번째는 비내진구조, 세 번째는 SRC기둥이나 커플러 사용 시 또는 빅 사이즈의 기둥의 시공 시 편의성을 위해 사용되며, 네 번째는 원형기둥의 경우 사용됩니다. (D10, D13 철근을 주로 사용)